2009년 대유행 (H1N1 돼지독감) 당시 “왜 확진자 수 집계를 중단하였는가?”에 대한 미국 CDC의 대답이 다음과 같다 (참고1):
- 대유행 발발 초기에는 확진자를 집계하였으나, 유행이 번지고 더 광범위해지면서 확진자 집계가 갈수록 더 비현실적이 되고 유행의 심각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게 되었다
- 실제 감염된 사람의 일부만 검사를 받기 때문에 집계를 추적하는 것이 어떤 유익이 있을지 의문이 생기고, 오히려 막대한 사회적 자본 소진이라는 부작용이 늘었다.
- 상기한 이유로 CDC는 2009년 7월 24일부로 확진자 집계를 중단하였으나, 입원자와 사망자 집계는 계속하였다.
이상의 이유는 지금 코로나19에 대해서도 여전히 적용된다. 아니, 임상을 고려하지 않고 PCR 검사만으로 확진을 논하는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 집계의 효용이 떨어진다.
왜 과거의 교훈을 무시하는가? 무시해도 될 정당한 이유가 있는가? 내가 아는 한 그런 이유는 제시된 적이 없다.
제언:
- 집단검사를 통한 확진자 집계를 당장 중단하고, 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PCR 검사를 시행하라.
- 병상포화지수, 중증입원환자수, 사망자수 집계를 중심으로 유행의 심각성을 논하라.
참고로, 이상의 제언대로 한다면, 3차 혹은 4차 대유행은 존재하지 않고, 우리가 익히 아는 독감의 계절성과 유사한 패턴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미 불필요하게 발생하고 있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