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Hun Hong
K-방역 = K-호들갑
2022년도 53주차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를 보니 눈에 띄는 통계자료가 있었다. 2018~2022년 동안 독감을 포함한 급성호흡기감염증 — 흔한말로 “감기”로 인한 입원환자 통계가 있었다. 코로나19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검색을 통해 할 수 있는한 코로나19로 인한 입원환자수 그래프를 긁어 모아 붙여넣어봤는데, 그것이 아래 그림이다. 이렇게 함께 놓고 보니,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에도 매년 겨울에는 4000~5000명 가량 입원환자가 감기(독감…
마스크가 효과 없다면 의사들은 왜 쓰냐고 묻는 사람들을 향한 어떤 의사의 대답
1. 저는 외과 전문의입니다. 2. 저는 이와 관련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습니다. 3. 의사들이 수술실에서 마스크를 쓰는 이유는 첫째로 침이나 액체방울이 절개부에 들어가는 것을 막음으로써 *박테리아* 감염의 위험을 줄이고, 둘째로 혈액이나 뼈조각이 의사에 입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4. 호흡기 바이러스는 액체방울이 아닌 공기(에어로졸)로 전파됩니다. 5. 마스크는 호흡기 바이러스 전파를 막지 *못합니다*!!! 6. 마스크는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마스크 때문에 독감은 줄었다면서 왜 코로나 유행은 못 막는가?
매년 겨울이면 유행하던 독감(인플루엔자)이 작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사라졌다. 그 이유가 사람들이 마스크를 잘 써서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마스크 안 쓴다고 욕먹던 스웨덴에서도 독감이 사라진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위의 그래프는 한국의 독감 유행을, 아래 그래프는 스웨덴의 독감 유행을 나타낸다). 정확한 기저는 아직 파악이 안되었지만, 감기 바이러스인 코로나의 유행이 또 다른 감기…
마스크 착용을 무시하는 바이러스 유행
코로나던 독감이던 감기 바이러스는 마스크 따위는 신경도 쓰지 않습니다 계절성 감기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상식적이었습니다. 마스크의 방역 효과를 주장하는 “전문가”들이 있다면 “공부 안하는 전문가”입니다.